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국민내일배움카드 사용법과 사용처

by 캐로토리 2023. 3. 14.
반응형
실업자, 근로자, 자영업자와 상관없이 직업훈련에 대한 훈련보조비를 받을 수 있는 국민내일배움카드를 발급받았다면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사용법과 어떤 직업 훈련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사용처를 살펴보자. 

 

 

국민내일배움카드 사용법과 사용처
국민내일배움카드 사용법과 사용처

 

 

 

아직 국민내일배움카드에 대해 생소하거나 어떻게 발급받아야 하는지가 궁금하다면 우선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자.

2023.03.10 - [생활정보] - 국민내일배움카드 자격, 유효기간, 지원금 - 실업자, 근로자, 퇴직자, 주부, 학생

 

국민내일배움카드 자격, 유효기간, 지원금 - 실업자, 근로자, 퇴직자, 주부, 학생

실업자와 근로자로 나뉘어 운영되던 내일배움카드가 2020년부터 국민내일배움카드로 통합되었다. 말 그대로 온 국민이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는 카드로 해당 자격만 되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carrottory.tistory.com

2023.03.13 - [생활정보] -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 방법과 재발급 바로 확인하기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 방법과 재발급 바로 확인하기

2022년부터 실업자, 근로자, 자영업자와 상관없이 직업훈련을 받도록 지원받는 국민내일배움카드 개정안이 시행되고 있다. 발급 후 5년 동안 300만 원에서 최대 500만 원의 훈련비를 지원받을 수

carrottory.tistory.com

 

 

 

 

>> 국민내일배움카드 사용법

 

HRD-Net 이용하기

국민내일배움카드를 사용하여 직업훈련을 받으려면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운영하는 "직업훈련포털 HRD-Net"에 접속하여 내가 받을 훈련과정을 찾아야 한다. HRD-Net에 들어간 후 아래 경로에 따라 내가 훈련받을 지역과 일자를 선택한 후 검색 버튼을 누르면 내가 훈련받을 수 있는 훈련과정을 볼 수 있다. 아래 경로를 따라서 해보자.

 

 

 

직업훈련포털 HRD-Net

오늘도 더 성장할 나를 위한 직업훈련 지식포털 안녕하세요. 로그인을 해 주세요. 로그인 간편인증 로그인 개인 기업 회원가입

www.hrd.go.kr

 

  • "HRD-Net > 로그인 > 훈련 과정"에서 지역과 일자를 설정한 후 검색 버튼을 누른다.
  • 원하는 특정 직종이나 자격이 있으면, 직종을 선택하거나 검색창에 자격명을 입력하고 검색한다.
  • 검색 결과 중에서 내가 받고 싶은 훈련을 찾아본다. 
  • 관심 있는 훈련의 "훈련기관, 훈련기간, 훈련 시간, 훈련비, 관련 자격증" 등의 정보를 쭉 살펴본다.
  • 담아두기 버튼을 눌러 저장하거나, 수강 신청 버튼을 눌러 수강 신청한다. 
  • 국민내일배움카드로 결제한다. 

총훈련비는 (1) 정부승인 훈련비(정부지원액 + 자비부담액)와 (2) 훈련기관 결정 추가 훈련비로 이루어지는데, 최종 자부담비는 (1) 번의 자비부담액과 (2) 번의 추가 훈련비를 더한 금액이 된다. 훈련 과정에 따라 추가 훈련비가 발생하는 훈련도 있고, 추가 훈련비가 없는 훈련 과정도 있다. 

 

훈련과정마다 관련된 일자리 정보, 자격증 정보, 직업 정보가 있다. 이것들을 참고하면 훈련과정에 대해 좀 더 다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고 내가 생각하던 훈련인지 판단을 내릴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우선 내가 받고 싶은 훈련을 "담아두기"로 저장해 두었다가 최종 검토한 후 수강 신청을 하는 것이 요령이다.

 

 

 

 

>> 국민내일배움카드 사용처(훈련 과정)

 

국민내일배움카드 훈련 과정

국민내일배움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훈련과정은 매우 다양하다. HRD-Net에서 막상 검색하려고 하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다. 아래의 HRD-Net 전체 훈련 과정에 가서 전체적으로 어떤 과정들이 있는지 검색해 보면서 우선 본인이 원하는 분야나 자격을 어느 정도 정하는 것이 좋다. 그런 연후에 세부적인 훈련과정을 비교해 가면서 최종적으로 결정해야 한다. 

 

HRD-Net > 훈련 과정에 들어가면, 아래처럼 (1) 전체 훈련 과정, (2) 우수 훈련과정, (3) 사업별 훈련과정으로 나누어서 검색할 수 있다. 본인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찾아 들어가서 검색해 보기 바란다. 우선 내가 관심 있는 훈련 분야를 1개 이상 검색한 후에 자신의 스케줄에 맞게 훈련 과정을 선택하길 바란다. 

 

(1) 전체 훈련과정

HRD-Net에는 총 19,668개의 훈련 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직종별로는 사업관리 / 경영, 회계, 사무 / 금융, 보험 / 교육, 자연, 사회과학 / 법률, 경찰, 소방, 교도, 국방 / 보건, 의료 / 사회복지, 종교 / 문화, 예술, 디자인, 방송 / 운전, 운송 / 영업판매 / 경비, 청소 / 이용, 숙박, 여행, 오락, 스포츠 / 음식서비스 / 건설 / 기계 / 재료 등 다양한 직종의 훈련과정이 있다. 

 

훈련의 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아래와 같다. 

 

집체 과정(15,998개)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실시하기 위하여 설치한 훈련 전용 시설에서 실시하는 훈련이다. 

 

스마트 훈련 과정(737개)

위치기반서비스, 가상현실 등 스마트 기기의 기술적 요소를 활용하거나 특성화된 교수 방법을 적용하여 원격 등의 방법으로 훈련이 실시되고 훈련생 관리 등이 웹상으로 이루어지는 훈련이다.

 

온라인 과정(3,670개)

정보통신매체 등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직업능력개발훈련이다. 

 

(2) 우수 훈련 과정

우수 훈련과정은 취업률과 만족도가 높은 국민내일배움카드 훈련 과정으로 총 1,084개의 훈련과정이 있다. 아래의 경로를 통해 별도로 검색할 수 있다. 취업률과 만족도가 높은 좀 더 좁은 범위 내에서 검색할 수 있으니 활용해 보자. 

 

  • HRD-Net > 훈련과정 > 국민내일배움카드 훈련 과정 > 우수 훈련 과정

 

 

 

 

(3) 주요 사업별 훈련과정

아래와 같은 주요 사업별로 훈련과정을 검색할 수 있다. 나에게 적합한 사업분야가 있다면 선택해서 검색해 보자.

 

K-디지털 트레이닝

AI, 빅데이터 등 기반 기술과, 이를 활용한 핀테크, 클라우드, 스마트 제조 등 응용 기술을 배우고 실전에 활용하는 훈련과정이다. 총 188개의 집체 과정이 있다. 

 

K-디지털 기초역량훈련

디지털 역량 부족으로 노동시장 진입 및 적응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모든 국민에게 디지털 분야 기초역량 개발을 지원하는 훈련이다. 코딩, SQL, 웹 개발, 4차 산업혁명, 파이썬 등 총 116개의 과정이 있다. 

 

중장년 새출발 카운슬링

중소기업 재직자에게 중장기적인 관점의 경력설계 컨설팅을 제공하는 과정이다. 주로 경력설계 분야에 41개의 과정이 있다. 

 

산업구조 변화대응 특화훈련

산업구조 변화 등에 따라 지원이 필요한 산업의 재직자, 실업자 등의 고용유지, 이직, 전직 등을 활성화하기 위한 현장 기반 훈련을 수시 공급하고 훈련비 및 훈련장려금 등을 지원하는 과정들이다. 총 284개 과정으로 제과기능사, 세무회계, CAD, 웹 개발, 온라인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의 과정이다. 

 

국가기관, 전략산업직종 훈련

기간산업, 전략산업 등의 산업 분야에서 인력이 부족하거나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종의 기술, 기능인력을 양성하는 과정이다. 1,233개의 과정이 있으며, 실내건축산업기사, 정보보안전문가, 영상편집, 게임 프로그래머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훈련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일반고 특화훈련

취업하려는 일반계 고3 학생에게 맞춤형 직업능력개발훈련 기회를 부여하는 훈련 과정이다. 미용사, 제과제빵, 바리스타, 헤어&네일아트, 영상 콘텐츠 제작, 자동차정비 산업기사, 양장기능사, 전기기능사 등 122개 과정이 있으며, 대부분 자부담이 없는 전액 정부 지원이다. 

 

국민내일배움카드를 HRD-Net을 통해 사용하는 방법과 사용할 수 있는 훈련 과정을 살펴보았다. 훈련받을 수 있는 사용처가 매우 많아 무작정 검색하기보다는 내가 관심 있는 분야와 자격 등을 우선 정하고, 그에 맞는 훈련과정을 검색하여 선정하는 것이 좋겠다. 여러 개의 자격이나 훈련을 받을 예정이라면 수개월에서 수 년 동안 시간 안배를 잘하여 훈련과정을 내 것으로 소화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도록 하자. 
반응형

댓글